Point
* 위에 사진 참조 *
Linux / centos or centos64bit
RAM 1G(1024) hdd 40G
1.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설치 첫화면
2.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
disc found skip~
한국어
한국어
기본장치
utc 체크해제
네트워크 다음
3. 파티션 (사용자 레이아웃)
① / 200M
② /boot 200M
③ /usr 12000M
④ /var 4000M
⑤ swap 2048M (파일시스템유형)
⑥ /home 200M
⑦ 기존 / => 최대치로 변경(가능한 최대용량)
4. desktop, 지금선택
기반시스템 => 레거시 유닉스 호환성 => 선택적 패키지 ksh
서버 => FTP
5. 로그인후 랜카드 설정
오른쪽 상단 네트워크 아이콘
오른쪽 클릭 후 연결 편집
system eth0 더블클릭
자동연결 체크
5-1 랜카드 설정 명령어로 설정(*명령어는 꼭외어 두자 )
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> DEVICE=eth0
> ONBOOT=yes
> BOOTPROTO=static 수동으로 IP지정 할때
BOOTPROTO=dhcp IP자동으로 받아 올때
> IPADDR=192.168.x.x 수동으로 할경우 IP지정
> GATEWAY=192.168.x.2
> NETMASK=255.255.255.0
> DNS1=168.126.63.1 구글 IP이다
> DNS2=8.8.8.8 한국 통신 아이피이다
- DNS 는 인터넷 되게 하기 위해 사용 하기 때문제 지금은 하나만 되어도 상관없다 나중에 DNS,httpd 등 관련 작업을 위해 서버 할 IP도 지정 해주는데 그것은 추후 해볼예정이다
> wq 저장후 나와서 데몬을 돌려준다
> /etc/rc.d/init.d/network restart 로 Network 데몬을 돌려 수동/자동 으로 아이피를 받아온것을 IP 새로 받아 온다
> ifconfig 로 IP확인 하고 ping 확인 하면 정상 적으로 IP받아 온것이다